선거 앞두고 보상금 제멋대로 지급 취재하자 총회 열었다며 남은 돈 처리 전남 영광군 염산면의 한 어촌 마을이 술렁이고 있다. 전임 어촌계장이 재임 시 선거를 앞두고 보상금등을 제멋대로 지급하는 등 전횡을 일삼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영광군 염산면 옥실리 어촌계원의 제보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 6·13 지방선거 직전까지 어촌계장을 지낸 S모씨와 재무 B모씨 등은 6·13 지방 선거를 앞두고 어촌계원 164명 중 26명을 제외한 138명의 어촌계원들에게 각종 보상금과 위로금 등을 차등 지급 했다”는 것. 이어 “무안군 도리포와 영광군 향화도간 칠산대교 건설 보상금 4,700만원과 풍력발전 위로금 1,000만원, 김 양식장 어민 7명이 어촌계에 기부한 대교건설 보상금의 10%인 2,750만 원 등 총 8,450만원을 명확한 기준도 없이 비밀리에 지급했다”며 일부 어민들이 문제를 제기해 관계 당국의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어촌계원 K모씨는 “전 어촌계장 S모씨가 6·13 지방 선거에 출마 하면서 자신들의 말을 듣지 않는 어촌계원 26명을 배제하고 138명에게 돈을 지급한 것은 부적절한 행동이다”고 지적했다. 또한 “전임 어촌계장
영광군이 지역 존립이 걸린 인구 늘리기에 사활을 걸고 있는 가운데 ‘인구정책 5개년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키로 해 주목받고 있다. 군은 오는 29일 영광예술의전당 대강당에서 ‘인구가 미래다’를 주제로 전문가 초빙 토론이 포함된 ‘영광인구 심포지엄’을 연다고 밝혔다. 토론에는 장효천 국가지역경쟁력 연구원장을 좌장으로 채종훈 조선대 교수, 송우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등 6명의 전문가 등이 참석한다. 이들은 심포지엄에서 국내·외 인구 관련 주요 이슈와 동향을 점검하고 군민과 열린 토론 등을 통해 인구 감소 대응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또 영광군의 인구동향과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국가정책 방향과 선진사례를 통한 영광군이 나아가야 할 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이처럼 영광군이 ‘인구절벽 문제’ 대응에 발 벗고 나서는 데는 전남 지역 지자체 대부분이 고령화 등에 따른 인구 감소로 ‘인구 소멸 위험지역’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영광군 인구도 지난 1969년 16만3157명을 최고로 정점을 찍었지만 산업화에 따른 탈농촌화 등의 영향으로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해 2017년 말에는 5만4000여명 선까지 하락했다. 문제는 저출산, 고령화에 이어